목록Java/Spring (33)
재 현
@PostMapping annotation이 빠졌을 경우 발생한다
1. 프레임워크에 의존하지 않고 순수한 자바의 특징을 살림 2. 불변 ( 값을 바꿀 수 없음 ) 3. 누락탐지 ( 컴파일 오류 혹은 작성 시 뜨는 경고로, 누락 부분을 바로 알 수 있다 ) 4. final 키워드 사용 가능 ( 생성자에서 혹시라도 값이 설정되 지 않는 오류를 컴파일 시점에 막아준다)
[ Optional 정리 ] Optional은 null 또는 실제 값을 value로 갖는 wrapper로 감싸서 NPE(NullPointerException)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해 나온 Wrapper 클래스이다. 따라서 Optional을 반환하는 메소드는 절대 null을 갖는 value를 반환해서는 안된다. 또한 Optional은 값을 Wrapping하고 다시 풀고, null일 경우에는 대체하는 함수를 호출하는 등의 오버헤드가 있으므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메소드의 반환 값이 절대 null이 아니라면 Optional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성능저하가 적다. 즉, Optional은 메소드의 결과가 null이 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가 이 상황을 처리해야 할 때 사용하는 것이 좋다. 출처..
좋은 객체지향 설계를 하기 위해서 우리는 DI가 필요하다 말 그대로 서비스부분은 추상클래스만 알고 있으면 되고 실행부분만 집중하면 된다. 구성은 몰라도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 중 autowired와 config에 알아보자 1. Autowired 서비스 부분에 @Service 어노테이션 + 생성자 부분에 @Autowired를 추가한다, 그리고 해당 레포지토리엔 @Repository 어노테이션을 추가해 빈에 등록한다. 2. Configuration Config란 클래스에 Bean을 따로 만들어 주입한다. https://galid1.tistory.com/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