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 현
객체 지향 설계 - 스프링 본문
728x90
- 스프링은 다음 기술로 다형성 + OCP, DIP를 가능하게 지원
- DI 의존관계, 의존성 주입
- DI 컨테이너 제공
- 클라이언트 코드의 변경 없이 기능 확장
- 쉽게 부품 교체하듯이 개발 가능
- 스프링 없던 시절
- 어느 개발자가 OCP, DIP원칙을 지키면서 개발하다보니, 너무 할일이 많았다. 배보다 배꼽이 크다. 그래서 프레임워크로 만들어버림
- 순수하게 자바로 OCP, DIP원칙들을 지키면서 개발을 해보면, 결국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만들게 된다. ( 더 정확하게는 DI 컨테이너)
<정리>
1)
모든 설계에 역할과 구현을 분리하자 (자동차, 공연...)
애플리케이션 설계도 공연을 설계 하듯이 배역만 만들어두고, 배우는 언제든지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좋은 객체 지향 설계다.
이상적으로는 모든 설계에 인터페이스를 부여하자
2) 실무 고민
하지만 인터페이스를 도입하면 추상화라는 비용이 발생한다 ( 탐색을 위해 인터페이스 -> 구현식으로 들어가야 함)
기능을 확장할 가능성이 없다면, 구체 클래스를 직접 사용하고, 향후 꼭 필요할 때 리팩터링해서 인터페이스를 도입하는 것도 방법이다
책 추천 )
- 객체지향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스프링 : 토비의 스프링
- JPA :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728x90
'Java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의 탄생 (0) | 2021.08.10 |
---|---|
주문과 할인 도메인 설계 (0) | 2021.08.07 |
객체 지향 설계 - SOLID (0) | 2021.07.29 |
객체 지향 설계 - 다형성 (0) | 2021.07.29 |
Thymeleaf에 이미지 출력 (0) | 2021.07.27 |